2025. 3. 28. 08:42ㆍ해외선물 관련뉴스

글로벌 마감 시황 전해드립니다.
(3대 지수) 오늘 장 미국 증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산이 아닌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죠. 또 한번 세상의 중심이 된 관세가 위험 회피 심리를 자극했으나, 그래도 오늘 미국의 4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가 개선된 점이 시장에 호재로 작용했습니다. 오늘 다우 지수는 0.37%, 나스닥 지수는 0.53%, S&P 500 지수는 0.33% 하락했습니다.
(섹터) 섹터별 움직임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오늘 섹터별로 등락률의 편차가 꽤 심한데요. 먼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거라는 행정명령으로 인해 자동차 섹터, 대표적으로 GM, 포드, 스텔란티스가 급락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 자동차를 조립하고 생산하는 테슬라에게는 호재였죠. 오늘 임의소비재주는 그래도 강보합권에 머문 모습이고요. 호실적을 발표한 달러트리는 10% 넘게 급등하며, 필수소비재주의 상승을 이끌어 줬습니다. 1% 오르며, 오늘 상승폭이 가장 컸고요. 반면에 브로드컴과 AMD 등 반도체 주의 하락으로 기술주가 0.75% 하락했고, 에너지 주도 0.8% 밀렸습니다.
(시총 상위) 시총 상위 종목들의 움직임은 어땠을까요. 먼저 미국과 중국 당국의 규제를 동시에 받고 있는 엔비디아는 오늘도 2% 넘게 하락했습니다. 엔비디아는 오늘 코어위브의 주식을 대량으로 매입할 거라는 소식도 있었는데요. 반면에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차량을 미국 안에서 만들어 내는 테슬라는요. 앞서 전해드린 대로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자동차 관세의 수혜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오늘 장에서 0.39% 상승한 모습 확인할 수 있고요. 이밖에도 오늘 애플 1% 상승했고 알파벳은 1.5% 하락했습니다.
(유럽증시) 아무래도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건 유럽이겠죠. 역시나 오늘 유럽 증시 일제히 하락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텔란티스가 4% 급락했고, 메르세데스 벤츠 2.7%, BMW 2.5% 각각 하락했는데요. 오늘 유로스톡스 600 지수는 0.44% 밀렸고요. 독일 닥스 지수는 0.7%, 프랑스 꺄끄 지수는 0.51% 하락했습니다.
(미국채) 미국 국채 시장도 오늘 자동차 관세 소식을 주시하며 움직였습니다. 중장기물을 위주로 국채 금리가 오르는 현상이 반복되는데요. 그래도 여러모로 개선된 경제지표들이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키기도 했습니다.
먼저 미국의 4분기 GDP 성장률 확정치가 2.4%로 집계됐습니다. 예상치는 물론이고, 이전 잠정치를 상회한 점이 눈에 띄었는데요. 또 미국의 지난달 상품수지 적자 규모가 전월 대비 4.9% 감소했고,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또한 22만 4천 건으로 공개되면서,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오늘 7년물 국채 입찰도 진행됐는데요. 입찰 금리가 시중 금리를 웃돌았지만, 응찰률이 2.53배로 6개월 평균치를 더 큰 폭으로 하회했습니다. 국내와 해외 수요도 평균치를 모두 밑돌면서, 오늘 7년물 국채 입찰의 수요는 부진했습니다. 오늘 10년물 국채 금리는 4.36%에 거래됐고요. 2년물 국채 금리는 3.99%에 거래됐습니다.
(환율) 오늘 외환시장도 마찬가지로 자동차 관세 소식으로 움직인 하루였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약세를 보이다가도 104선 대에서 횡보하는 모습이지만, 자동차 관세로 가장 타격을 받은 멕시코 페소와 캐나다 달러는 급락했는데요. 유로화는 6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가 오늘은 반등할 조짐을 보였습니다. 오늘 달러 인덱스는 104선 초반에 머물렀고요. 엔 달러 환율은 151엔 초반에 거래됐습니다. 원 달러 환율은 1천 464원에 거래됐고 역외환율에서는 1천 464원에 거래됐습니다.
(금) 고조되는 글로벌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로 오늘 금 선물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또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이 늘고 있고, 금과 관련된 ETF에도 유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 금 선물은 3천 1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내일 장 체크 포인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내일은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지표죠. 미국의 2월 개인소비지출 가격 지수, PCE가 공개될 예정이고요. 미시간대에서 집계한 미국의 3월 기대 인플레이션도 발표될 예정입니다. 또 오늘 오후에는 영국의 4분기 GDP와 유로존의 3월 소비자 신뢰지수도 공개될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글로벌 마감 시황이었습니다.
'해외선물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내달 2일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 한국도 비상 (1) | 2025.03.27 |
---|---|
미국 2월 소매판매, 추정치 크게 밑돌아 (1) | 2025.03.18 |
트럼프발 경기 침체 우려…뉴욕증시 나스닥 2.6%↓ (3) | 2025.03.11 |
OPEC+ 증산 전망에 국제유가 하락…WTI 2%↓ [오늘의 유가] (1) | 2025.03.04 |
러 송유관 피격·달러 약세 겹쳐…유가 3거래일 연속 상승 (1)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