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8. 28. 13:39ㆍ경제상식 용어
안녕하세요 안심해외선물 정실장입니다.
오늘 배워볼 경제상식은 스프레드(Credit Spreads), TED 스프레드, TIPS 물가연동국채 뜻의 대해 알아보기 입니다.
신용스프레드(Credit Spreads)란?
직접 금융이 발달한 미국에는 소위 잘~나가는 기업들이 회사채 발행을 통해 운영자금을 조달합니다.
이때 이자를 떼일 위험이 적은 회사는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올 수 있습니다. 반면에 이보다 리스크가 있는 상장사는 더 높은 이자를 줘야만 하는데, 이와 같이 돈을 빌려오는데 들어가는 이자율 차이가 바로 신용스프레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채권시장은 원리금 상환의 위험정도를 구분하여 여러가지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우량등급을 AAA라고 하며 그 아래로 AA, A, BBB가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투자등급이라고 하며 그 이하로는 BB라고 하여 투기등급으로 구분합니다. 이때 AAA, BBB의 금리차이가 바로 신용스프레드의 기준이 됩니다.
간단하게 해석을 하자면 위에 말한 차이가 줄어들게 되면 경기가 회복이 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반대로 넓어지면 불황의 가능성이 높아질 위험에 쳐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호황일 때는 체질이 약한 회사들도 이윤을 내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성장이 지속되는 한 위험에 대한대비는 조금 느슨하도 괜찮을 정도죠. 이를 반영하여 신용스프레드는 좁아지게 됩니다. 다시말해서, 돈을 빌리는데 들어가는 비용차이가 적어진다는 얘기입니다.
이와 반대로 불경기에서는 강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한 기업에 대한 투자는 감소할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원리금 상환에 불안한 요소가 있는 회사채는 더욱 많은 이자를 주어야만 합니다. 따라서 신용스프레드가 커지게 되죠. 지금까지의 통계치 분석에 따르면, 이 차이의 기준은 대략 3.5%정도 됩니다. 그 이하로 줄어들면 긍정적, 그 이상을 넘게되면 부정적이란 표시를 남기게 되죠.
TED스프레드 뜻은?
이와 관련하여 TED스프레드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는 리보(LIBOR = London Inter Bank Offered Rate)와 T-bill간의 금리 차이를 말합니다. LIBOR를 직역하면 런던 은행간 거래되는 이자율을 뜻하며, 국제금융시장의 기준금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석은 신용스프레드와 같습니다.
즉, TED가 축소되면 경기가 회복되는 신호를 알리며, 반대로 확대되면 불경기에 대한 징조입니다. 그러한 이유는 낮은 이자로 돈을 빌려와 더 많은 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풀려나간 자금은 경제를 활발하게 돌아가게 합니다.
물가 연동 국채(TIPS = Treasury Inflation Protected Securities)
TIPS는 말 그대로 물가상승을 반영해 이자 지급액이 변하는 국채를 말합니다. 이에 비해 재무부가 발행하는 표준 채권은 원금과 이자가 고정되어 있습니다. TIPS 스프레드는 10년짜리 재무성채권과 10년 만기 TIPS의 수익률 차이를 말합니다. 즉, TB가 4%이고 TIPS는 1%라면 그 스프레드는 3%가 됩니다.
이 격차가바로 금융시장이 추정하는 향후 10년간의 인플레이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차이가 2% 이상을 넘기게 되면 채권투자에서는 별다른 이익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그러한 이유는 연준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그 이하로 떨어지면 디플레이션의 징조가 되므로 채권시장에 유리한 환경이 됩니다. 따라서 2% 스프레드는 TIPS의 손익 분기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경제상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리트레이드(Carry Trade) 뜻 알아보기 (15) | 2024.09.04 |
---|---|
코스피, 코스닥 국내 증권시장 알아보기 (6) | 2024.09.03 |
기축통화의 뜻과 종류 (0) | 2024.08.23 |
GDP 뜻과 정의 및 계산 공식 (1) | 2024.08.22 |
파생상품의 뜻과 개념 정리 (0) | 2024.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