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S&P500 에센피500 알아보기

2024. 7. 1. 13:48해외선물 공부/해외선물 종목

안녕하세요.

 

그동안 미국의 3대 지수라고 불리우는 나스닥과 다우지수에서 대해서 배워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마지막이라고 할 수 있는 S&P500 입니다. 

 

역사부터 개념가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P 유례

 

S&P Global의 역사는 19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Henry Varnum Poor (1812 – 1905)

1860년 Henry Varnum Poor는 당시 최대 산업이었던 철도산업 투자자 가이드 북을 편찬하였으며, 1923년에는 
Standard Statistics가 주택담보채권을 평가하는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 둘은 1941년 합병을 하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Standard&Poors 입니다. 이 후 1957년 S&P500 지수를 만들었으며 2016년에 S&P Global로 리브랜딩 하였습니다.

 

출처 : 네이버

S&P500은 엄연히 뉴욕 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기업입니다. 과거서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지난 달 중순기에도 사상 최고치를 찍었습니다. 벌써 올해만 30번째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다고 합니다.

 

 

S&P 500의 개념

 

스탠다드앤드푸어스는 무디스(Moody's), 피치(Fitch) 등과 함께 전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으로 불리우고 있으며 다우존스 지수와 마찬가지로 뉴욕증권거래소로 상장된 기업의 주가지수이지만, 지수 산정에 포함되는 종목수가 다우지수가 30개 종목보다는 훨씬 많은 500개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수의 종목 400종목의 고업주, 20종목의 운수주, 40종목의 공공주, 40종목의 금융주의 그룹별로 지수가 나뉘어져 있습니다.

 

한편 S&P500 지수의 옵션의 향후 30일간 변동성이 반영하고 있는 'VIX index'가 있으며, 이 지수는 증시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므로 변동성지수 또는 공포지수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시 주가지수는 전 종목을 대상으로 지수를 산출해내기 때문에 시장전체의 동향파악이 다우식보다는 용히하고 시장구조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대형주들의 영향을 크게 받아 투자자가 느끼는 주가의 변동추이와 지수움직임임 큰 차이를 보인다는 약점이 있습니다.

 

S&P500 지수의 산출방식은 비교시점에 주가 상장 주식을 곱한 전체 시가총액의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합니다.

출처 : https://visualcapitalist.com/

S&P500 지수 편입조건

 

1.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어야 하며, 해외 기업은 미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미국 예탁주식(ADR) 형태로 거래되어야 합니다. 

 

2. 시가총액 13,100,000,000$ 달러 이상으로 유동성과 시장 영향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3. 최근 6개월 평균 거래량이 1일 평균 25만 주 이상이어야 합니다. 

 

4. 지배구조, 회계감사, 법적분쟁 등 기타요건 또한 충족해야 편입이 가능합니다.

 

 

S&P500 상위 10위권 안에 있는 종목들